....
접속정보저장
자유게시판
뷰티 Q&A
정보나눔터
해외&여행방
먹자방
다이어트/성형&헤어/패션
만화&엔터테인먼트
으라챠챠 싱글&화려한 더블
skin care
make up
cosmetics
sun 101
hair & body
위니생각
skin care
make up
cosmetics
sun
hair & body
페수 report
페수 world wide
뷰티스쿨
용어사전
 
 
 
 
 

 
[List] [Skin Care] [Makeup] [Cosmetic] [Sun] [Hair & Body]

Q: 비누는 피부에 안좋은가요?        2002-09-14 19:48:56     Bookmark and Share




80 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비누는 목욕을 갈때 가장 유용한 세정제였죠. 머리도 감고..몸도 씻고, 얼굴도 씻고...내친김에..빨래도 하구..ㅡ.ㅡ;;

그러나 점차 세정제의 세분화가 이루어지면서 비누의 단점이 부각되기에 이르렀고 (언제나 새로운것을 마케팅할 때는 라이벌의 단점을 내세우는것이 포인트!)

가장 대표적인것이...

비누는 알칼리와 지방의 결합이다.
-> 피부는 약산성을 원한다..고로 피부에 나쁘다
-> 너무 강하게 닦아낸다..세안 후 피부가 뽀드득한것이 그 신호!
-> 비누의 지방은 피부에 남아 모공을 막을 수 있다

그보단 좀 약하지만..

비누는 센물엔 약하다..
-> 잔여물을 남긴다.
-> 더러움이 잘 제거되지 않는다..

등등도 있겠구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비누중 사실 전통적인 의미의 비누는 많지 않습니다. (가장 대표적: 아이보리비누)
요즘은 비누모양을 하고 있되..폼클과 큰 차이없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 무뉘만 비누인것이 많구요 (ex. 뉴트로지나, 도브, 올레이 뷰티바..)

예전처럼 pH 9 를 넘나드는 강알칼리성도 거의 없고 많은 것들이 중성~약 알칼리성을 띄고 있습니다. 이것은 포밍클렌저도 마찬가지예요.
서양 폼클류들은 약산성이 많지만 아직도 국내/일본 폼클류등은 약알칼리성인것이 대부분이지요.

기본적으로 보자면 약알칼리성이 약산성보다는 더러움을 제거하는 능력은 좀 더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약산성 제품들도 클렌징 능력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건강한 피부라면 약알칼리성의 제품으로 세안을 하더라도 피부는 곧 정상 pH 로 돌아옵니다. 따라서 알칼리성 제품으로 세안을 했다고 피부가 많이 손상을 입는것도 아니예요.

피부에 자극적인 것은 성분에 따라 폼클도 마찬가지로 해당할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들은 다양한데 그 중엔 피부엔 다소 강할 수 있는 것들도 꽤 많이 있거든요.
그러므로 무조건적으로 비누보다 폼클이 더 순하다라고도 말은 할 수 없지요.

전 개인적으로 비누의 사용보다는 포밍클렌저의 사용을 권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비누의 유해성(?) 때문이기보다는 그 성상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포밍클렌저나 펌프타입의 리퀴드 클렌저가 내용물이 바깥에 노출되지 않는반면 비누는 한번 사용하기 시작하면 습기많은 욕탕에서 언제나 약간 눅눅한채로 노출되어있지요.

어쩌다 매우 더러운 손을 씻다보면 비누표면에 더러움이 그대로 남은 채 말라붙기도 하며...한마디로 세균의 온상이지요.

게다가 자신만의 비누케이스에 사용하는것이 아니라면 불특정 다수(?) 에 의해 사용되므로 그 누군가가 전염성의 병균(ex. 아폴로 눈병) 이라도 가지고 있으면 전염되는것도 매우 쉽겠죠.

비누는 마지막 한방울까지 사용할 수 없게..어느정도 크기가 작아지면 그대로 버려야한다는 점 등등...여러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비누라고 반드시 배척할 필요는 없습니다.

최근엔 웬만한 폼클 못지 않게 고가의..또 피부에 순한 페이셜 관리 전용의 비누들이 많이 나오고 있으니까요.



댓글

 
 
기타 상품들
제휴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정책 | 개인정보 변경 | contact us | 아이디/비밀번호찾기 | 맨위로
copyright@FACE MAKER. All Rights Reserved